투자에 관한 의견

처음 투자를 시작할 때 우선 순위 정하기

lifewithsunil 2023. 4. 21. 18:07

투자 자체를 처음 시작한다고 하면 어떠한 순서로 시작하는게 유리한지에 대해 순서를 정해보려고한다.
그리고 리스크가 적은 (MDD-최대손실이 제한된) 포트폴리오 위주로 추천을 해보겠다.
 
1. 개인연금 6,000,000원 / 퇴직연금 (IRP) 3,000,000원
- 특징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당해년도만 가능하기 때문에 매년 넣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13.2% 세금 혜택을 연말정산 시 돌려주는 방식으로 받는다.
개인연금 6,000,000원 입금 시, 792,000원 세액공제, 퇴직연금 3,000,000원 입금 시, 396,000원 세액공제
총 1,188,000원 혜택
- 단점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에만 금액 수령 가능
그 전에 수령 시 세금 혜택 회수
- 추천 포트폴리오
리치고 주식에 있는 정적자산배분 포트폴리오들이 무난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현금에 해당하는 단기채권을 달러형 단기채권으로 보유하는 걸 추천한다.
(현금의 역할이 위기 시 방어자산인데, 위기 시에는 달러가 원화보다 낫기 때문이다.)
포트폴리오 비중은 아래와 같다.
개인연금
ARIRANG 신흥국MSCI(합성 H) 17.5%
TIGER 미국S&P500 17.5%
KOSEF 국고채10년 17.5%
TIGER 미국채10년선물 17.5%
ACE KRX금현물 15%
ACE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15%
퇴직연금 (IRP) - 안전자산 30%룰 때문에 종목이 약간 복잡하지만 구성은 위와 거의 유사함
ARIRANG 신흥국MSCI(합성 H) 6.0%
TIGER 미국S&P500 17.5%
KOSEF 국고채10년 17.5%
KODEX 200미국채혼합 29%
ACE KRX금현물 15%
ACE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15%
 
2. 일반 계좌 (원하는 금액 만큼)
해외 주식이 가능한 일반 계좌에서 동적자산배분을 추천한다.
동적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 운영 계획 (tistory.com)
2023.04 동적자산배분 포트폴리오 (tistory.com)
동적자산배분은 해당 내용들을 참고하고 매달 1일에 그 달에 운영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니 참고하면 된다.
5개의 포트폴리오 중 1번인 3F-LAA가 처음 시작하기 적절하며, 한 포트폴리오당 10,000,000원 정도씩 우선 채우는 걸 추천한다. 그래야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온전히 따라가기 유리하다.
처음에는 매달 모아가면서 3F-LAA를 채우고 그 이후 선택은 자유이나 4번 Ca.SUPER 모멘텀과 5번의 채권동적자산배분을 추천한다.
이런 순서로 추천하는 이유는 동적자산배분에서도 시황에 더 민감하게 변화하거나 덜 민감하게 변화하는 포트폴리오가 있기 때문이다.
 
3. 주가 상승보다는 매달 들어오는 배당금 투자 방식을 원할 경우 - 배당주라도 주식100%라 MDD가 큰 편
3-1. ISA 계좌
ISA 계좌에 대한 설명은 네이버를 검색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기본적으로 연 20,000,000원씩 5년간만 납입 가능하며, 수익 및 배당금에 대한 세금혜택이 있다.
ISA 계좌를 해지하기 전까지 수령이 불가능하나 3년 이후로는 원할 때 해지가능하므로 제약조건이 적은 편이다.
추천 포트폴리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50%
KODEX 미국S&P500TR 50%
3-2 일반 미국 주식 계좌
배당가중 포트폴리오 구성 (tistory.com)
배당가중 포트폴리오를 추천
매월 배당을 받다가 6개월 또는 1년에 한 번 업데이트 되는 내역에 따라 구성비율 미세 조정
 
정보를 한 번에 담다보니 헷갈릴 부분들이 많을 수 있다.
1번부터 하나씩 채우다보면 노후준비가 어느정도 채워질수 있으니 찬찬히 읽어보길 추천한다.
3번의 배당금 투자의 경우 앞의 1, 2번에 비해 손실폭이 클 수 있으니 1, 2번 포트폴리오를 구성 한 후 추가하는 방식이 더 낫다.
댓글 또는 개인적으로 질문주시면 더 좋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