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적정 점수 백테스트 (Feat. QQQ)
동적자산 배분 탭에 투자 적정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
데이터 따오는게 여간 불편하여 길게는 백테스트하지 못하였고, 2021-10-01부터 2023-07-01를 기록하였다.
2022년 하락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하락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나, 긴 추세 상승기간의 백테스트 결과물이 없어 상승 구간에 어느정도 수익성이 낮아지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기존에 보던 동적자산 배분 신호들인 카나리아 신호와 HAA의 위험신호(TIP)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몇가지 지표들을 혼합하여 점수화하였다.
데이터를 우선 보자.
탭 순서대로 보면, 날짜와 그 순간의 QQQ 지수 값이 있다. 다른 값들과 비교를 위해 시작점을 100으로 Normalize하여 표기한다.
동일 기간에 QQQ를 그냥 보유한 경우 그 값의 변화와 최대 잔고 값(MAX), 그리고 최대 잔고 대비 손실율을 기록하는 Max Drawdown(MDD)가 기록되어있다.
계산된 점수 값이 0~100점 값으로 기록되고 50점 이상인 경우는 상승베팅, 50점 이하인 경우는 하락베팅으로 명명한다.
해당 점수에 맞춰 QQQ의 비중을 맞춰서 투자한 경우 4S 전략 값을 따르며 이 경우의 MAX와 MDD를 각각 기록한다.
가장 끝 두 탭은 헷갈릴 수 있는데, 상승베팅(50점 이상)했을 때 전달 대비 오르면 O, 내리면 X로 승률을 표기하였고, 하락베팅(50점 이하)인 경우에는 내리면 O, 오르면 X로 승률을 표기하였다. 현재까진 각 80%, 64%의 승률로 맞추고 있다.
(사실 승률은 중요한 값은 아니다, 정답을 맞추는 것보단 얼마나 오르고 내리는가가 더 중요하다.)
QQQ를 2021-10부터 보유하고 있었다면 100에 시작해서 현재 102인 상황일 것이고 잔고는 74.9까지 보고 왔을 것이다. 그러나 동일 기간 4S 전략을 따라갔을 경우 100에 시작하여 현재 116.9인 상태일 것이고 최저점도 96.9로 적절한 수준에서 방어가 되었을 것이다.
이를 MDD로 표기해서 보면 QQQ는 최대잔고 대비 34%하락까지 보고왔으며 아직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하였으나, 4S 전략은 고점 대비 최대 9%하락했다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전고점을 회복하였다.
모든 백테스트는 공격시 QQQ, 방어시 USD(현금) 보유했을 때로 진행했으며, 환율은 반영되지 않은 달러 수치값이다.
여담으로 최근 상승장에서는 QQQ인 나스닥 대표 100개 종목을 보유한 ETF보다 TOP10인 나스닥 대표 10개 종목의 실적이 월등히 좋았다. 해당 신호에 맞게 QQQ를 매매하지 않고 TOP10 종목을 보유했을 경우 수익율이 더 좋다.
(TOP10종목은 미국 ETF에선 적절한 것을 찾지 못하였고, 한국 ETF에서는 TIGER 미국테크TOP10이 있다.)
(생각해보니 해당 종목으로 백테스트 해보면 비교가 되기는 할텐데...) [아래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