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아이디어 공유

주식 장기시계열 분석

lifewithsunil 2021. 5. 11. 21:53

 

 

위 항목들은 나스닥(빨간색), 에스엔피(주황색), 금(보라색), 채권(초록색)을 각각 표기해둔 것이다.

각 자산들은 변동성의 크기나 고점과 저점의 위치가 다르지만 일정한 추세를 가지고 우상향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채권의 기울기가 제일 낮고, 에스엔피와 금은 기울기가 유사하며, 나스닥은 좀 더 급격한 기울기를 가진다.

y축은 log scale로 지금 직선처럼 보이는 상승이 사실은 어마어마하게 큰 상승치인 것을 볼 수 있다.

1980년대부터 어떠한 자산을 샀던지 시점에 따라 차이는 나겠지만, 꾸준히 모아왔다면 자산이 크게 상승해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얻을 수 있는 것은 자산군의 가격이 순환한다는 것이다.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하면서 올라가게 되고, 그 성향은 자산군에 따라 다른 cycle를 가진다.

그래서 포트폴리오를 잘 구성하고 이 자산군들을 일정 비율로 잘 가져가면, 변동폭을 크게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수익을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오는 이유는... 기업가치의 상승, 금리, 인구의 증가 등등 다양하겠지만,

돈 자체가 늘어나고 있어서이다.

 

M2통화량은 log scale에서 꾸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더 돈이 더 빠른 속도로 풀렸다.

인플레이션은 '소리없는 세금'이라고도 한다. 우리가 인지할 수 없는 상태로 계속 돈의 가치를 낮추고 있다.

인플레이션 대비 돈을 지킬 수 있는 자산군들로 잘 구성해나가야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