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대가들이 소개한 다양한 동적 포트폴리오들이 있다.
내가 좋아하는 강환국님이 관련된 포트폴리오들을 정리하여 낸 책과 유투브를 통해서 포트폴리오의 흐름들을 파악하고 있다.
현재는 Defi의 수익율이 주식의 기대 수익보다 높기 때문에 달러의 비중을 높게 가져가고 있지만,
15% 이하로 내려올 경우 주식의 기대 수익과 비교할만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들을 미리 정리해두려고 한다.
Defi (CAGR 15, MDD 2 (해킹같은 특수한 위협을 제외하면 프리미엄차 정도))
기존에 사용하던 정적자산배분과 라오어 매매법, 인플레이션 대비 포트폴리오는 상황에 따라 점차 비중을 축소하여 정리할 예정이고, 모멘텀 매매법은 신호에 따라 이미 현금화가 되었고 추후 modify하여 사용하고자한다.
(정적자산배분은 방어는 좋은데 능동적 대처가 안되며, 동적자산배분이 더 재밌어보여서 변화를 주고자 한다.
라오어 매매법은 MDD가 견뎌내기엔 너무 크다. 나머지들은 매도라기보단 재변형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총 4가지 포트폴리오를 운영할 계획이며,
기존에 나와있는 동적자산배분에 개인적으로 신뢰하는 신호들을 혼합하여 운영하려고 한다.
이름은 기존 명칭에 마음대로 추가하여 설정하거나 그대로 따왔다.
1. 3F-LAA (CAGR 12, MDD 13 예상)
기존 LAA전략을 좀 더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며 CAGR 10.8, MDD 15.2가 기존 전략이라, 이보다 조금 개선되었을 것으로 예상해본다.
2. AAA (CAGR 11.5, MDD 11.3)
AAA전략 그대로 사용한다. 포트폴리오 변환이 잦아 귀찮으나, 약세장에 방어율이 좋은 것 같아서 사용하려고 한다.
3. Agg.VAA (CAGR 17.3, MDD 16.1)
기존 VAA전략에서 강환국의 공격형 버전을 이용한다.
4. Ca-SUPER M. (CAGR 20, MDD 15 예상)
개인적으로 써오던 모멘텀 전략에 방어 전략을 추가하여 사용하려한다. 모멘텀 전략은 추세 상승기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으나 반대로 꼭지점에서 매도가 되지 않고 일정 수준 내려와야지만 현금화 신호를 보여주어 반응이 느린 편이다.
좀 더 민감한 신호를 추가하여 수익 방어를 목적으로 추가하려한다.
전반적으로 공격보다는 방어쪽에 더 치중해서 보수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각 포트폴리오 3월에 나타난 신호를 정리해보면,
1. 3F-LAA (CAGR 12, MDD 13 예상)
GLD 25%, IEF 25%, IWD 25%, SHY 25%
2. AAA (CAGR 11.5, MDD 11.3)
IEF 60.3%, DBC 22.6%, GLD 9.7%, SPY 7.4%
3. Agg.VAA (CAGR 17.3, MDD 16.1)
SHY 100%
4. Ca-SUPER M. (CAGR 20, MDD 15 예상)
SHY 100%
주식
SPY 1.85, IWD 6.25 = 8.1%
원자재
GLD 8.675, DBC 5.65 = 14.325%
채권
IEF 21.325 = 21.325%
달러
SHY 56.25 = 56.25%
'투자에 관한 의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추천 - 리스크 관리 (feat. 아이언킴 & 강환국) (1) | 2024.04.10 |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시작 (2) | 2024.02.26 |
투자 포트폴리오 선택하기(기초) (5) | 2024.01.27 |
처음 투자를 시작할 때 우선 순위 정하기 (1) | 2023.04.21 |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기본적인 필수 요소 (1) | 2020.03.07 |